본문 바로가기

와인클라쓰

이것만은 알아둬야 하는 와인 용어 03

반응형

와인을 소개하면서 자주 사용되는 와인용어에 대해 추가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1. 네고시앙(Négociant)

와인 상인 혹은 중간 제조업자(Shipper라고도 한다.)

보르도에서 병입, 혹은 통에 담긴 와인을 매수하여 시장에 도매로 팔거나 그것들을 블랜딩 해서 판매하는 업자이다.

부르고뉴의 경우 포도를 매입하여 술을 만든다.

 

네고시앙(Négociant)


2. 도멘 (Domaine)

영지, 소유지를 뜻하는 불어로, 주로 부르고뉴 지방에서 포도밭의 재배와 와인 제조를 하는 양조장을 의미한다.

 

데일리 와인 (Daily Wine)


3. 데일리 와인 (Daily Wine)

일상 소비용의 가격이 적당한 와인이다.

 

데일리 와인 (Daily Wine)


4. 마고마을 (Margaux)

보르도 지방의 메독 지구 남단에 있는 아펠라시옹(마을)이다.

메독의 와인마을로서 최대 재배면적을 자랑하며 등급을 인정받는 샤토수도 최대이다.

1급인 '샤토 마고'를 비롯하여, 여성적으로 표현되는 우미한 맛의 와인이 생산된다.

 

마고마을 (Margaux)

 

 

보르도의 위대한 와인 산지-03 마고 마을 (좌안)

오 메독 지방의 '와인 마을'중 '마고 마을(Margaux)'에 대해 소개하겠다. 메독 지방의 남단에 있는 마고 마을(Margaux)은 메독의 와인로써는 최대의 재배면적을 자랑하며, 등급이 안정된 샤토의 개수

beyondwall77.tistory.com


5. 마르사네 (Marsannay)

부르고뉴 지방 코트 드뉘의 북단의 마을

87년부터 마을 단위급 와인을 만들었으며, 레드, 화이트, 로제와인의 등급이 있다.

마르사네 (Marsannay)마르사네 와인 (Marsannay wine)


6. 보르도 와인 (Bordeaux)

프랑스 보르도 지방의 와인으로 힘차고 농후하며 장기숙성형이 많다.

보르도 와인 (Bordeaux)

 

보르도 강 왼쪽 vs 오른쪽 와인의 특징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포도 재배 지역 중 하나로 알려진 보르도(bordeaux)는 수집가, 초보자, 산업 종사자등 모두가 찾는 지역이 되었다. 프랑스 남서부에 위치한 이 유명한 와인 양조 지역은 일반

beyondwall77.tistory.com


7. 본로마네 (Vosne-Romanee)

부르고뉴 지방내 코트 드 뉘 지구의 아펠라시옹(마을)이다. 

풍격과 깊이가 있는 화려한 향을 가진 와인을 생산한다.

 

본로마네 (Vosne-Romanee)

 

부르고뉴의 생산자 05-본 로마네 마을

05. 본 로마네 마을 (Vosne-Romanée) '본 로마네에 평범한 와인은 없다.'라고 18세기의 유명한 역사가가 말했다. 정말로 이 마을에는 부르고뉴의 진주라 불리며 칭송받는 위대한 특급 포도밥 '로마네

beyondwall77.tistory.com


8. 부르고뉴 (Bourgogne)

프랑스 남서부의 와인산지, 욘, 코트 드뉘, 코트 드 본, 코트 샬로네즈, 마코네, 보졸레의 6 지구로 구성된다.

병의 모양은 여성적인 '민틋한 어깨'가 일반적이다.

 

부르고뉴 (Bourgogne)

 

 

프랑스 와인의 등급 03 - 부르고뉴

이번에는 '부르고뉴'의 등급을 소개하고자 한다. 등급 이야기가 계속적으로 힘들게 들리고, 룰도 복잡하게 보이지만 사실은 간단한 구조이다. 등급은 반드시 라벨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와인 선

beyondwall77.tistory.com


9. 오크통 (Oak Cask)

와인의 발효와 숙성을 위해 사용한다.

오크는 목재 중에서 특히 유연성이 있고, 물을 통과시키지 않아 예로부터 많이 사용되어 왔다.

 

오크통 (Oak Cask)


10. 에티켓 (etiquette)

와인의 라벨을 의미한다.

 

에티켓 (etiquette)


11. 주브레 샹베르탕 (Geverey Chambertin)

부르고뉴 지방 내 코트 드 뉘 지구의 아펠라시옹(마을)이다.

와인의 맛은 힘차고, 오래가며, 응축도가 높고 농밀하다.

대표주자로 '샹베르탕'은 특급이며, '왕자의 와인'이라 불린다.

 

주브레 샹베르탕 (Geverey Chambertin)

 

부르고뉴의 생산자 01-주브레·상베르탕 마을

보르고뉴의 지방에서는 하나의 등급 포도밭을 많은'도멘(생산자)'이 분할 소유하고 있으며 같은 포도밭의 와인이라도 맛의 차이가 난다. 이것이 도멘의 '실력차'이다. 즉, 맛있는 부르고뉴 와인

beyondwall77.tistory.com


12. 카르베네 쇼비뇽 (Cabernet Sauvignon, 줄여서 CS)

앞에서도 자주 언급했지만 보르도 지방, 특히 강 왼쪽을 대표하는 포도품종이다.

포도알이 작고, 도톰한 껍질과 커다란 씨가 특징으로 탄닌 성분이 풍부해서 떫은맛이 나는 장기숙성형 레드와인이 된다.

 

카르베네 쇼비뇽 (Cabernet Sauvignon, 줄여서 CS)


13. 캘리피노 (Cali pinot)

캘리포니아 산 피나 누아종으로 만든 와인으로 줄여서 캘리피노라 불린다.

 

캘리피노 (Cali pinot)


14. 크렘 드 카시스 (Crème de Cassis)

카시스(블랙 커런트)를 이용한 커(Kir)이다.

이것에 화이트와인을 섞은 '커', 스파클링 와인을 섞은 '커 로얄'같은 식전주에 적합한 칵테일이 유명하다.

 

크렘 드 카시스 (Crème de Cassis)

 


15. 키안티 클라시코 (Chianti Classico)

새로운 통일수록 와인에 독특한 풍미를 준다.

이탈리어 토스카나 주를 대표하는 신맛 나는 레드와인이다.

'키안티'는 국가 지정 와인의 원산지명이고, '클라시코'는 전통적인 생산자를 의미한다.

 

키안티 클라시코 (Chianti Classico)


16. 테루아르 (Terroir)

와인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 지형, 기후 등 포도밭이 놓인 환경과 그 토지의 특성을 총칭해 테루아르라고 한다.

 

테루아르 (Terroir)


17. 파니에 (Pannier)

와인을 뉘어서 넣는 바구니.

침천물이 많은 와인을 누인 상태에서 서빙하기 위한 것으로

엄지손가락으로 와인병을 누르면서 기울여 따르는 것에는 의외로 훈련이 필요하다.

 

파니에 (Pannier)1파니에 (Pannier)2파니에 (Pannier)3


18. 피노 누아(Pinot Noir, 피노 네로(Pinot Nero)

산지오베제 종을 중심으로 만든다. 부르고뉴 지방을 대표하는 포도 품종이다.

타 품종과 블렌딩 하지 않고 단일 품종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섬세하고 화려한 레드와인이 나온다.

피노 네로(Pinot Nero)는 이탈리아에서 피노 누아(Pinot Noir) 품종을 일컫는 말이다.

 

피노 누아(Pinot Noir, 피노 네로(Pinot Nero))


 

 

보르도의 위대한 와인 산지-07 그라브 지구 (좌안)

메독지구(The Médoc)를 강을 따라 남하하면 5대 샤토 중 하나인 '샤토 오 브리옹(Chateau Haut Brion)'으로 그 존재를 알리는 와인 산지 '그라브지구(Graves)'가 있다. 사실 보르도에서 가장 빨리 와인을 만

beyondwall77.tistory.com

 

 

이것만은 알아둬야 하는 와인 용어 02

와인을 소개하면서 자주 사용되는 와인용어에 대해 추가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1. 글라스 와인 (Glass wine) 레스토랑에서 병이 아닌 글라스 한잔으로 와인을 제공하는 방식.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beyondwall77.tistory.com

 

반응형